SORT OF vs KIND OF
sort of / kind of는 의미상 차이 X
굳이 따지면 kind of가 좀 더 구어체에 가깝고 비격식적
하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두 표현을 다 사용
-
FELL ASLEEP vs ASLEEP vs SLEEP
fell asleep : 잠들다(잠드는 과정)
asleep : 형용사, 잠든(이미 잠든 상태)
- sleep보다 더 무거운, 더 깊이 잠든 느낌
- 화자 X, 제 3자만 사용 O
sleep : 동사, 잠을 자다(잠자는 행위 그자체)
- 화자 스스로 사용 O
#맥락에 따라 구분
-
BECAUSE vs BECAUSE OF
because : 절을 이끄는 접속사
=> because + 주어와 동사가 있는 절
because of : 전치사구
=> because of + 명사 or 명사구 or 대명사
#뒤 품사 따라 구분
-
원하다 WANT vs NEED
I want you to stop talking
=> 단순히 말하는 사람이 말하는 것을 그만두길... 개인적인 선호나 욕구
I need you to stop talking
=>말하는 사람이 꼭 조용히 해야함 선호 이상의 절실함이나 요구 / 문장의 어조가 더 강함
#맥락에 따라 구분
-
OVER vs THERE
over : 전치사, 무언가의 위에 있거나 넘어가는 것을 나타냄
there : 부사, 멀리 떨어져있는 어떤 장소나 위치를 가리킴
over there : 저기, 저쪽에, 저쪽 멀리
-> over은 거리를 강조하는 기능. there보다 더 멀리 떨어진 곳을 가리킴
=> 거리감을 강조하는 표현
#맥락에 따라 구분
-
FIND OUT vs TURN OUT vs FIGURE OUT
find out : 조사나 탐색을 통해 사실을 발견하거나 알아내는 것. 의도적으로 정보를 찾는 과정을 강조할 때 사용
=> 의도적 발견
turn out : 상황이나 결과가 예상과 다르게 드러나는 것. 우연히 알게 되거나,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
=> 우연한 발견 or 예상밖의 결과
figure out :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해하기 위해 생각하고 추론하는 과정. 상황을 분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것을 강조할 때 사용
=> 추론과 이해의 과정을 강조
#맥락에 따라 구분